타오나스에 헤놀로지 설치시 준로더와 DSM의 조합

기존에 헤놀로지를 넷북에서 타오나스로 옮기면서(기존 헤놀을 타오나스로 교체) 뽐뿌 나스포럼의 혀니천사님 글(초보자를 위한 헤놀 설치법 공유합니다.)을 참고했습니다.

별다른 어려움 없이 Juns-Loader 1.04b 와 DSM_918+_24922.pat 로 설치를 마무리하였는데, plex를 돌리니 HW트랜스코딩이 작동하지 않았습니다.(플렉스 재생오류? s1001) 한참을 구글링 해보니 혀니천사님의 올린 로더가 순정로더가 아니라 synoboot-DS918-1.04b-rpGPUdrivers 기반의 로더였던 것이 원인이었습니다. (이 로더는 네트워크 호환성은 좋은 대신 GPU를 포기하나 봅니다.)

이후에 다시 순정 준로더 1.04b + DSM 6.2.1 – 23824 update 6 이미지로 다운그레이드 하니 트랜스코딩이 정상적으로 돌아갑니다. 하지만 순정 준로더 1.04b에 DSM 6.2.2로 업데이트 하게 되면, 재부팅 하여 DSM에 진입하는 순간 타오나스를 찾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이경우 로더를 rpGPUdrivers 기반으로 바꾸면 다시 네트워크를 찾습니다.)

결국 타오나스에 설치된 헤놀로지의 모든 기능을 다 쓰기 위해서는 DSM 6.2.1이 한계였죠.

하지만 최근에 업데이트 된 DSM 6.2.3 25426가 올라오면서 상황이 조금 바뀝니다. 준로더 DS918-1.04b + IG-88 확장드라이버 0.10 로 정상적으로 HW트랜스코딩 까지 작동이 확인 되었으며, 준로더 1.04b-rpGPUdrivers 기반 + IG-88 확장드라이버 0.10 조합도 정상적으로 돌아간다고 합니다.(뽐뿌 나스포럼 DSM 6.2.3 25426 업데이트 올라왔네요.)

타오나스의 헤놀로지가 드디어 DSM 6.2.1를 벗어나 6.2.3으로 업글이 되는 것이죠.

물론 시놀로지에서는 이미 새로운 신제품이 출시되었고, DSM도 곧 7.0버전으로 넘어가게될 계획이라하니 , 언제까지 준로더에 의존하여 헤놀을 운영할 수 있을지는 예측할 수 없습니다.

비싼 가격은 하드웨어가 아니라 소프트웨어의 가치!!

그래도, 매일 매일 헤놀로지에 첫발을 딛는 초보자 분들과, 자꾸만 까먹는 나 자신을 위하여 준로더와 DSM의 조합과 관련된 정보를 남겨놓습니다.

기본조합

준로더 1.04b(918+) + DSM6.2.1-23824 설치후 update6까지 업데이트 (6.2.2로 업데이트 하면 네트워크 인식불가)

추천 조합

준로더 1.04b(918+)-rpGPUdrivers 기반 + IG-88 확장드라이버 0.10  + DSM6.2.3-25426

참고

다운로드 링크는 https://redmilk.co.kr/https://www.synology.com/ko-kr에서 가져왔습니다.

헤놀로지의 쉬운 설치법은 뽐뿌 나스포럼의 혀니천사님 글(초보자를 위한 헤놀 설치법 공유합니다.)을, 세세한 설치방법은 https://redmilk.co.kr/archives/2798을 추천합니다.

결국 헤놀로지는 시놀로지를 위한 연습일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