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료 자동급여기 DU5L-SP 구입

주말 캠핑과 부부의 맞벌이로 야옹이 두마리의 밥을 챙기는 것이 바쁜 일이 되었습니다. 자유급식이 제일 편하긴 하지만, 두마리의 냥이가 밥을 두고 눈치게임을 하다보니, 가끔 구냥이가 나중에 먹으려고 남긴 밥을 까냥이가 다 먹어 버리는 경우가 생기더군요.

결국 야옹이의 불필요한 눈치게임 막고 집사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사료 자동급여기(Automatic feeding machine) 구입을 결정합니다. 인터넷에 뒤져보면 정말 다양한 종류의 급여기가 있긴한데, 기본적으로 아래 사항을 중심으로 살펴보았습니다.

  • 사료주는 시간과 양을 앱으로 지정할 수 있는가?
  • 사료보관통과 사료배출접시를 분리하여 세척가능한가?
  • 전원선이 빠져도 동작하는가?

기본 기능 외에도 카메라 기능이나, 남은 사료양을 측정하는 기능 등이 옵션으로 붙는 경우도 있으나, 현실적으로 그리 많이 사용하지 않는다 판단하고 과감하게 제외했습니다.(사실 기능에 비해 가격이 많이 비싸 가성비가 맞지 않더군요 T_T)

결국 한참을 구글링한 후에 찾은 놈은 DU5L-SP란 자동급여기(Automatic feeding machine) 입니다.

냥이가 두마리라 같은 놈을 두대 구매 T_T

자세한 제품설명은 큐텐 홈페이지에 되어 있으나, 현재는 팔지 않네요. 판매자쪽 블로그에 설명이 잘 되어 있습니다. 제가 3월초에 구입할 때는 6만원 초반대였습니다. 아직 알리쪽엔 남아있는듯 합니다.

파워 + 배터리 조합으로 정전에도 안전.

저는 카메라가 없는 놈을 구입했는데, 카메라가 있는 놈은 2만원 정도 더 비쌌던 것으로 기억됩니다. 아마 전면의 동그란 부분이 카메라가 들어가는 부분 같습니다.

기본적인 앱 메뉴는 아래와 같으며, 보통 초반에 한번 설정해놓으면 다시 만질 일이 없을 것 같긴 합니다.

냥이가 둘이라 급여기도 둘
1포션에 10g이라 되어 있지만, 실제론 더 많이 나오는 듯
6시간 마다 10g씩 급여

사료량은 1포션 10g라고 되어있는데, 실제로는 이보다 조금 더 나오는 것 같습니다. 우리집 냥이를 예로 들자면 둘 다 5Kg 정도의 거세 숫냥이라, 메뉴얼을 따르자면 80g의 80%인 64g이 하루 적정량이고, 하루에 최소 6포션을 설정해야 하나, 실제로 그렇게 설정하니 사료를 남기기 시작했습니다.

먹고 놀고 자는 것이 일인 구냥과 깜냥.

결국 하루 1포션씩 4번을 설정하였고, 가끔 간식을 주는 것으로 방법을 바꾸었습니다. 사료종류와 크기에 따라 차이가 있겠지만 제 경우에는 1포션이 15g 정도 나오는 것 같습니다.

장점

  • 기본에 충실한 가성비 제품
  • 배식접시와 사료통이 분리되어 세척이 편리함
  • 배터리와 전원을 동시에 이용하여 정전 사태에 대비가능

단점

  • 회전 칸막이가 돌아가는 방식이라 냥이가 충격시 사료가 떨어집니다. (냥이가 흔들어서 사료 스틸 가능)
  • 사료통은 대용량이나 뚜껑과 배출구가 밀봉되지 않아 습기에 취약함
  • 1포션의 양이 10g이라 하지만, 사료에 따라 편차가 큰 편임
  • 본체쪽 전원 커넥터가 I자 형태라 벽면과 본체의 유격 발생
ㄱ 자형 커넥터를 사용하거나, 아예 바닥쪽이나 사이드쪽으로 빼도 될 듯 한데….

자동 급여기 구입 이후에, 냐옹이들이 밥달라고 보채는 일이 줄기는 했습니다.^^/ 이제는 밥먹을 시간이 가까워지면 자동 급여기 근처에서 기다리고 있네요.

코딩교육과정 기본 용어 풀이

PBL : 문제기반 학습( Problem-Based Learning) 또는 프로젝트 학습(Project-Based Learning) .

1.학습자들의 일상적인 삶과 관련된 문제를 질문형태로 선정하고, 2.상호협력을 위한 토론-논쟁-탐구를 통해 3.학습자가 가지고 있는 기존의 지식을 통합-재구성하여, 4.실제로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해결법, 방안을 수립-실천-보완한 후에 5.이를 공유할 수 있도록 발표하는 과정으로 활용할 수 있다.

구성주의(Constructivism) : 지식을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닌, 문화와 전통을 통해 구성되는 상황적 산물로 본다. 똑같은 것을 경험해도 학습자들은 자신의 경험에 따라 다르게 이해하고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교사는 학습자들이 원하는 목표를 스스로 결정하고, 적극적, 능동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안내자, 조력자, 촉진자의 역할을 해야하며 학습자 개개인의 다양성을 이해하고 존중해야 한다.

퍼실리테이터(facilitatior) : 촉진자. 여러 사람이 일정한 목적을 가지고 함께 일을 할 때 효과적으로 목적을 달성하도록 일의 과정을 설계하고 참여를 유도하여 질높은 결과물을 만들어 내도록 도움을 주는 사람.

앱 인벤터(APP INVENTOR) : 구글이 제공한 오픈 소스 웹 애플리케이션으로 지금은 MIT에서 관리되고 있다.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처음 접하는 사람들이 안드로이드용 응용 소프트웨어를 만들 수 있게 해준다.

스크래치(Scratch) : 컴퓨터 코딩에 관한 경험을 쌓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MIT에서 개발한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 및 환경. 블럭을 끌어당겨 탑을 쌓는 과정을 통해 코딩을 하기 때문에 프로그래밍 입문자에게 권하는 프로그래밍이다.

엔트리(Entry) : 한국형 스크래치. HTML과 자바스크립트 기반으로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사용할 수 있다. 네이버에서 운영.

아두이노(Arduino) : 오픈 소스 기반의 임베디드 시스템 중 하나. 다수의 스위치나 센서로 부터 값을 받아들여 외부 전자 장치를 통제함으로써 환경과 상호 작용이 가능한 물건을 만들 수 있다. 통합 개발 환경(IDE)를 제공하여 펌웨어를 쉽게 업로드 할 수 있고 저렴한 가격과 높은 호환성을 가지는 것이 장점.

파이썬(Python) : 인터프리터 방식의 프로그래밍 언어. 프로그래밍 언어중 가장 쉬운 문법으로 꼽히며 입문용이나 학습용으로 많이 추천된다. 간결하고 무료이며 접근성과 응용력이 높아 현업에서도 자주 쓰인다.

https://xkcd.com/3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