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커 교육(maker education)은 DIY(Do It Yourself) 운동의 영향을 받아 미국에서 확산되고 있는 메이커 운동(maker movement)에서 파생되었다. 메이커 교육이란, 학생이 직접 물건을 만들거나 컴퓨터로 전자기기를 다루는 등의 작업을 하면서 창의력을 발휘해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것을 만들거나 발견을 촉진하게 하는 것을 말한다.
IT분야의 입문 자격증이라 할 수 있는 정보처리기사 자격증을 취득하였습니다. 2019년 1월에 접수하여 1회차 필기에 합격(3월)하고 1회차 실기에 낙방(4월), 2회차 실기(6월)에 합격하여 발표까지 총 8개월 정도, 순수하게 공부한 시간은 6주정도 되는 것 같습니다.
가채점 점수는 64점이었는데, 7점 정도 더 나왔네요.
사실 자격 자체의 효용성보다는 학점은행제에서 20학점을 인정을 해주기 때문에 강의압박을 줄이기 위한 용으로 더 유용하게 활용됩니다.
자격 학점인정 기준
공부방법
필기는 쉽습니다. 정보처리에 대한 지식이 전혀 없이 매일 기출문제 풀이 한챕처 + 틀린문제 풀이 복습만 해도 3주 정도면 넉넉하게 합격할 수 있습니다. 인터넷 검색으로 정보처리기사 요약본(이기쥬희, 시나공, 기사퍼스트 등등) 을 구해 프린터하여 끝까지 1번 보는 것이 첫걸음 입니다.
정보처리 기사 필기 요약본 한 챕터 보고,
해당 챕터에 해당되는 기출문제들을 풀이하고
모든 챕터 완료 후 최근 기출문제 5회 풀이
이 정도면 충분합니다. 이해와 암기 중 암기가 90%이상이지만, 실기시험을 대비하여 이해부분을 늘리려고 노력하면 뒤에 편합니다.
실기는 단답형 서술식이라 비전공자에겐 쉽지 않습니다. 첫 실기시험은 필기이후에 놀다가 1주정도 벼락치기로 공부를 했는데, 문제가 쉽다고 느겼는데도 불구하고 알고리즘과 자료구조가 명확하지 않아 점수가 안나왔습니다.(57점 낙방)
알고리즘은 C와 JAVA의 기본적인 개념이 있어야 하고, 자료구조는 SQL명령어를 실제로 처보며 공부하는 것이 좋습니다. 점수를 제일 안정적으로 획들할 수 있는 부분이 알고리즘과 자료구조이기 때문에 반드시 일정시간 이상을 투자해야합니다. 개인적으로 공부비중은 알고리즘 5, 자료구조 3, 업무프로세서 1, 전산영어와 신기술 1정도입니다.
알고리즘 기출문제 풀이(시나공 동영상 참고)
자료구조 기출문제 풀이(이기적 참고)
공부하기 지겨우면 짬짬히 업무프로세서, 신기술 기출문제 한 번씩 보고(앱활용)
전산영어는 신기술에 나오는 용어 한 씩 써보기(앱활용)
최근 기출문제 5회 풀이(이기적)
이렇게 약 3주정도 공부했고, 마지막에 기출문제 풀이할 때는 평균점수가 55~65점 사이였습니다. 약간 불안한 상태에서 두번째 실기시험을 쳤는데, 다행하게 신기술과 전산영어에서 전날 번개치기한 것들이 나와주어서 안정적으로 합격한 것 같습니다.
알고리즘의 경우에는 시나공에서 설명해주는 동영상이 가장 효과적이었고, 자료구조는 이기적의 문제설명이 적절하였습니다.
업무프로세서는 가장 기본적인 몇가지 용어만 암기하고, 나머지는 지문해석이였습니다.
신기술의 경우 퀴즈렛(용어의 암기를 위해서는 퀴즈렛을 이용하라)의 도움이 컸고, 전산영어는 따로 하지 않고 기출문제에 나온 것들을 신기술할 때 한번 더 보는 정도였습니다.
일년에 4번 밖에 시험을 치지 않고, 실기시험과 필기시험의 연계가 크기 때문에 필기부터 실기까지 1달이상은 꾸준히 공부하는 편이 불필요한 시간낭비를 줄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