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놀에 도커로 마인크래프트(Minecraft) 서버(bedrock-server) 만들기

2019년 11월27에 뽐뿌 nsa 포럼에 올렸던 글(시놀에 도커로 마인크래프트 서버 만들기!)을 보충하여 기록합니다.

과거에 마인크래프트는 PC용 자바 에디션(JE)을 시작으로, 포켓 에디션, 베드락 에디션(BE)등 다양한 버전이 혼재해 있었습니다. 하지만 2017년 Better Together Update 이후로는 포켓 에디션, 윈도10 에디션, 콘솔 에디션과 기타 플랫폼들은 모두 마인크래프트(Minecraft)로 통합되고, 기존의 PC용 마인크래프트는 자바 에디션으로 명칭이 바뀌게 됩니다. 이후 최초의 마인크래프트인 자바버전은 통합버전인 베드락 에디션에게 주도권을 넘겨주며 서서히 주요 무대에서 퇴장하는 분위기입니다.

따라서 헤놀에 베드락 버전의 마인크래프트 서버를 설치한다면 XBOX, 모바일, PC용 윈도10 마인크래프트 등에서 자유롭게(서버의 성능만 허락한다면) 접속하여 게임을 플레이 할 수 있습니다. (단, 자바 에디션은 접속되지 않습니다.)

만약 헤놀에 도커를 설치할 줄 안다면 다른 것은 거의 손을 댈 것이 없을 정도로 쉽습니다.(시놀에 도커로 마인크래프트 서버 만들기! 참고)

bedrock-server를 지원하는 레지스트리가 몇 종류 있지만 저는 비교적 추천이 많은 roemer/bedrock-server를 선택하였습니다.

심플 is 베스트!

혹시나 백업이 필요할 때를 대비하여 worlds와 config를 파악하여 볼륨에 마인크래프트 폴더를 만들어 마운트 해놓습니다.

이렇게 미리 백업에 대비 하는 것이 맞겠죠? 두 아들이 만들어 놓은 세상이 오랫동안 살아남길….

도커설정이 끝나면 내부 네트워크에서는 누구나(10명이내에 서버가 버티는 한도까지…) 마인크래프트 서버에 접속하여 게임을 즐길 수 있습니다.

친구에 만들어진 서버가 보입니다.^^/

만약 외부에서도 헤놀에 설치한 마인크래프트 서버에 접속하여 게임을 즐기고 싶다면, 공유기의 포트포워딩을 이용하여 마인크래프트 포트(UDP 19132)를 열어 놓고 접속하면 됩니다. 물론 NAS가 접속자를 몇 명이나 버틸 수 있는지는 별개의 문제이지요.

처음 월드에 1명이 접속할 때 걸리는 부하
첫 월드 생성이 끝나고 서버가 평온해 졌을 때 의 부하
공유기 포트포워딩은 UDP19132로 ^^/

이제 유료인 마인크래프트 서버 호스팅( 렐름)을 아이들과 아이들의 친구들에게 공짜로 뿌려줄 수 있게 되었습니다.(마인크래프트 자바 에디션 가진 친구는 많이 섭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