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무 프로세스 주요 용어 1(경영, 관리, 운용)

정보 기술 아키텍쳐(ITA : Information Technology Architecture)

정보 기술 등 구성요소를 분석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구조적으로 정리한 체계. 업무처리의 효율을 높이기 우해 가가 업무와 업무에 필요한 정보를 관리하는 것.

  • 전사적 구조(EA : Enterprise Architecture) : 필요한 정보, 기술간의 관계를 표현한 청사진.
  • 기술 참조 모델(TRM : Technical Reference Model) : 조직의 업무 활동에 필요한 정보 서비스를 식별하고 설명한 것.
  • 표준 프로파일(SP : Standards Profile) :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정보기술 표준.

업무 재설계(BPR : 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

기업활동이나 업무의 전반적인 흐름을 근본적으로 분석하고, 기업목표에 맞게 재설계, 재구성 하는 것. 성공을 위해서는 조직목표, 프로세스(업무), 정보가 필요함. 창시자는 마이클 해머.

대상 프로세스 선정 -> 프로세스 이해 -> 프로세스 재설계 -> 미래모습 전달

전사적 자원 관리(ERP :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경영혁신 기법의 하나로 인사, 생상, 유통, 판매, 회계 등과 같은 모든 기업 경영 활동을 하나로 통합하여 기업의 생산성을 극대화 하기 위한 기법. 통합정보시스템. BPR을 지원하는 역할.

비즈니스 프로세스 관리(BPM)

기업 내외의 업무 프로세스를 가시화하고, 실행, 통제, 관리 최적화 할 수 있는 변화 관리 및 시스템 구현 기법. 오늘의 성공이 내일의 성공으로 이어지지 않기에 끊임없이 프로세스를 관리하여 변화에 순발력 있게 대응하는 것이 목적.

BPR로 업무 재설계하는 과정을 ERP로 지원 받고, 완료 후 BPM으로 분석, 개선, 관리.

기업 애플리케이션 통합(EAI : 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

기업내 정보를 통합, 관리,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구현하는 것으로 데이터 웨어하우스나 ERP 등 기업에서 운영하는 서로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통합하여 업무 효율성을 높이려는 것.

전략적 기업 경영(SEM : Strategic Enterprise Management)

경영자 및 관리자에게 기업 활동에 대해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여 합리적인 의사 결정과 실행이 가능하도록 하여 기업 가치를 극대화시켜주는 전략적 의사결정 시스템.

  • 가치 중심 경영(VBM :Value Based Management) : 기업의 목적을 주주와 투자자들에게 최고의 경제적 가치를 창조하는데 두고 기업의 가치 지표를 통해 기업을 관리.
  • ABC/ABM(Activity Based Costing/Management) : 비즈니스를 업무단위로 세분화하여 각 업무활동 단위마다 소요경비를 수치화하는 방법. 정확한 원가 측정과 대상의 성과를 측정하고 관리.
  • 균형 성과 기록표(BSC : Balance Score Card) : 재무재표에 의존했던 기업평가에 미래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지표를 추가한 무형의 자산평가 모델.

WBS(Work Breakdown Structure)

업무분류체계. 프로젝트를 여러 개의 작은 관리 단위(소작업)으로 분할하여 계층적으로 기술한 업무 구조. 프로젝트 진행중에 발생하는 모든 작업을 알 수 있다.

핵심 성공 요인(CSF : Critical Success Factors)

매사추세스 공과대학(MIT)에서 개발한 전략정보시스템(SIS)의 시현을 위한 기법의 한가지로 경영상 중요한 정보를 결정하는 방법. 한 기업이 성공하기 위해 갖추거나 수행되어야할 핵심 요소.

MOT(Moment of Truth)

고객이 기업의 서비스나 제품을 이용하면서 기업과 직,간접적으로 접촉하여 기업에 대한 이미지를 결정하는 순간. 마케팅의 한 기법으로 활용된다.

VOC(Voice of Customer)

고객의 소리. 문의, 민원, 항의, 상담을 포함한 고객과의 의사사통. 고객의 불만, 개선점, 제품에 대한 장단점, 서비스 만족도등 을 분석하여 업무 프로세스, 마케팅 등에 사용.

데이터베이스(Data Base) 개념

데이터베이스의 정의

데이터베이스란 어느 한 조직에서 업무 처리를 위해 다수의 응용시스템 혹은 다수의 사용자들이 공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통합, 저장된 데이터의 집합을 말한다.

  • 통합된 데이터(Integrated Data) : 하나의 주제에 따라 중복을 최소화한 데이터의 집합.
  • 저장된 데이터(Stored Data) : 사용자나 응용시스템이 필요시 언제든지 이용할 수 있도록 저장된 데이터의 집합.
  • 공용 데이터(Shared Data) : 여러 사용자와 다수의 응용 시스템이 공유할 수 있도록 만든 데이터의 집합.
  • 운영 데이터(Operational Data) : 중복을 최소화하고 여러 사람이 공유함에 있어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를 필요로 하는 데이터로 이용가치가 잇는 데이터의 집합.

데이터베이스의 특징

  • 계속적인 변화(진화)(Continuous Evolution) : 항상 최신 정보를 유지할 수 있도록 삽입, 삭제, 갱신이 이루어짐.
  • 동시 공유(Concurrent Sharing) :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접근하여 이용.
  • 실시간 접근성(Real-Time Accessibility) : 질의(Query)에 대해 실시간 처리 및 응답.
  • 내용에 의한 참조(Contents Reference) : 데이터의 물리적 주소나 위치에 의하지 않고 사용자가 요구하는 데이터 내용으로 검색.
  • 데이터 중복의 최소화(Redundancy Minimize) : 동일 데이터의 중복성을 최소화해야함.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스키마)

스키마(Schema)는 데이터베이스의 전체적인 구조와 제약조건에 대한 명세를 기술, 정의한 것을 말하며 스킴(Scheme)이라고도 한다.

스키마의 구조 http://www.databaser.net/moniwiki/wiki.php/3%EB%8B%A8%EA%B3%84%EC%8A%A4%ED%82%A4%EB%A7%88%EA%B5%AC%EC%A1%B0
  • 외부 스키마(External Schema) : 전체 데이터 중 사용자가 사용하는 한 부분에서 본 논리적 구조. 서브 스키마.
  • 개념 스키마(Conceptual Schema) : 논리적 관점(사용자 관점)에서 본 전체적인 데이터 구조.
  • 내부 스키마(Internal Schema) : 물리적 저장 장치 관점(기계 관점)에서 본 데이터베이스의 물리적 구조.

데이터베이스 관리자(DBA : DataBase Administrator)와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시스템과 관련된 모든 자원에 대해 기획과 통제를 하며, 데이터베이스 언어를 이용해 DBMS를 거쳐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전체적인 관리 운영에 책임을 지는 사람이나 집단을 DBA라고 한다.

이러한 관리자와는 대비되는 개념으로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는 집단을 데이터베이스 사용자라 하며, 응용 프로그래머(Application Programmer : DB내용을 일반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응용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사람), 일반사용자(End User : DB의 내용을 실제 사용하는 사람이나 집단), 데이터 관리자(DA : Data Administrator, 데이터의 정의와 체계화, 감독 및 보안 업무를 담당)로 구분한다.

DBA와 DA를 구분하자면 DB관점에서, DA는 데이터 관점에서 업무를 수행한다.
( https://kaonsoft.tistory.com/23 )

데이터베이스의 설계

데이터베이스의 스키마를 정의하고 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를 구현하기 하기 위한 전반적인 과정을 말한다.

데이터베이스 모델링 https://mangkyu.tistory.com/27
  1. 요구사항 분석 : 데이터베이스 정의, 요구사항에 따른 명세서(Specification)작성.
  2. 설계 : 개념적(Conceptual), 논리적(Logical), 물리적(Physical)설계.
  3. 구현 : 실제 데이터베이스 만드는 과정. 간결, 명료, 목적 일치, 유지 보수 용이.
  4. 운영 및 개선(유지보수) : 문제점과 개선점 파악.